자사주와 자사주 매입에 대한 이야기는 보통 뉴스나 기사에서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하게 그 용어가 의미하는 바를 알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보통 용어만으로 판단했을 때, 주로 자사주는 대주주가 사는 것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스스로 발행한 주식을 다시 매입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어야합니다.
또한 자사주 매입이 수요 증가가 아니라, 공급 감소로 이어지는 경제 원리를 통해 자사주 매입이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즉, 오늘의 핵심 주제는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핵심 주제
1. 자사주 매입은 공급 감소에 의한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대주주 주식 거래와 자사주 매입은 구별해야합니다.
3. 주식 시장의 균형점이 자사주 매입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자사주의 정의
자사주는 대주주가 아닌 자기가 가진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므로, 대주주와 주주간의 거래는 자기주식이며 취득한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자사주 매입은 다른 소유자가 소유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 아닌, 기업이 자기 자신이 발행한 주식을 매입하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회사가 다른 주주에게 매입한 주식을 자기주식 또는 자사주라고 합니다.
자사주는 주식을 발행한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다시 매입하는 것이므로, 대주주가 보유한 개인적인 주식과는 구별되어야 합니다.
주식 시장의 공급 감소 원리
앞서 말씀드렸듯이, 자사주 매입은 수요 증가가 아닌 공급 감소 개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어떠한 물건을 1000개를 시장에 판다고 가정했을 때 도매상에게 모두 팔렸습니다.
그러나, 물건의 가격이 낮다고 판단한 저는 물건의 갯수를 700개로 줄였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공급이 감소한 것이며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는 주식 시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주식을 물건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의 영향
물건에서 다시 주식으로 돌아와 생각을 해보면, 시장이 많이 풀려나가는 시기라고 생각하여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식 시장에 남아있는 주식은 1000개에서 700개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공급이 감소함에 따라 주식의 수요가 증가한 것은 아니지만, 자사주 매입의 효과는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공급이 감소하거나 수요가 증가했을 경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경제학의 기본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식시장에서 자사주 매입이 이루어지면 균형점이 변하게 되며, 이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총 정리
자사주 매입을 하면 대주주나 경영인이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스스로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므로 공급이 감소하게 되면서 균형점이 변해 대체로 주식의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주들은 주가 상승으로 인해 이익을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사주 매입이 발생하게 될 경우, 보통 주식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융 및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버블 (9) | 2024.09.09 |
---|---|
자사주 소각, 주식을 태우는 이유는? (5) | 2024.09.05 |
보통주와 우선주, 후순위 채권이란 (8) | 2024.08.06 |
회사의 부도, 파산, 해산, 청산, 폐업에 대해 알아보자 (48) | 2024.08.05 |
업틱룰(uptick rule)이란? (공매도 악용의 방지) (46)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