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의 주식시장에서 하락 방어력을 가지고 있는 상품인 커버드콜 전략의 ETF들은 굉장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략의 인기 비결과 개념은 무엇일까요?
이 포스팅 글을 통해 해당 전략에 대해 이해를 한 뒤, 이에 따른 투자 전략을 구상하는데에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씁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커버드콜은 주로 콜 옵션 매도 프리미엄이 나타나는 상황에 있어 주가 상승은 제한하고, 하락 시 높은 방어력을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커버드콜 전략으로 안정적인 인컴을 토대로 높은 월 분배금 배당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은 굉장히 직관적인 성향을 띄고 있으므로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그렇게 맞지는 않게 여겨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버드콜 전략을 취하고 있는 ETF들 중 QYLD, JEPI 같은 종목들은 거의 대중화가 되어있는 추세입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QYLD와 JEPI 종목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기도 하며, 최근 JEPI는 1년 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대중화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주가 하락에 있어 높은 방어력을 보여준다는 장점도 존재하지마, 그보다 안정적인 월 분배금을 지속적으로 배당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커버드콜 전략의 ETF 종목들 중 QYLD와 JEP는 올해 10% 이상의 월 분배금을 지급한 전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커버드콜 전략의 기초
만약에 커버드콜 전략 ETF 종목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분기 배당이나 총수익률을 추구하는 편이라면 좀 더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커버드콜은 A라는 주식이 일시적으로 수익이 없는 시점에 A주식을 보유한 채, 추가적인 수익을 올리기 위해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그러므로, 커버드콜 전략 ETF의 수익 대부분은 콜옵션 매도에서 발생하는 프리미엄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러한 전략의 특징을 분석하여 자신의 투자 성향과 알맞는 방향인지 잘 생각하여 투자 여부 판단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 콜 옵션 계약에 따른 매도자와 매수자의 대립 관계
콜옵션 매도자와 콜옵션 매수자가 계약을 체결했을 때의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매수자는 매도자에게 주당 4달러의 프리미엄을 지불합니다. 그리고 한 달 뒤, 주당 100달러에 매도자의 소유 주식을 구매할 권리를 얻습니다.
매도자는 약정의 대가로 매수자가 한 달 뒤 주식을 100달러에 팔면 이를 무조건 이행해야 합니다.
매수자는 주식이 100달러를 초과한 가격에 올랐을 경우 권리를 행사하고, 101달러 이상에서 주식 거래가 이루어진다면 시장가보다 저렴하게 주식을 매수할 수 있으므로 옵션을 행사할 것입니다.
매수자가 옵션을 행사하게되면 매도자는 100달러에 매도할 의무가 생깁니다.
4. 대립 관계에 따른 수익 분석
주식 가격이 더욱 상승하여 콜 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받은 상황에서의 손익이 동일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주식 가격이 상승할 경우 더 큰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가격이 105달러일 경우, 105달러에 매도하며 콜 옵션 매도 프리미엄을 얻어서 총 108달러에 매도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옵니다. 단, 105달러 미만인 경우, 시장가보다 가격이 싸기 때문에 주식을 얻을 이유가 사라지므로 옵션을 행사하지 않습니다.
즉, 커버드 콜 전략은 상승 폭 제한, 횡봉 시장에서 아주 적합한 상황을 보여주며, 하락장에 있어서도 높은 방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추천드린 종목 이외에도 다양한 커버드콜 전략 ETF들이 다수 존재하므로 각각의 종목들을 비교해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급 배당금 TSLY ETF 안전할까?(feat.테슬라) (3) | 2024.03.11 |
---|---|
시총 100억원 증발한 반토막 테슬라, 기회인가? (10) | 2024.03.09 |
2024년 인도 경제 급성장 중 주목할만한 기업 (MMYT) (2) | 2024.02.27 |
주식시장이란 무엇인가? (1-주식시장의 이해) (0) | 2024.02.25 |
투자자에게 주식이란? (4-주식의 이해) (0) | 2024.02.18 |